폐암 표적치료제의 종류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폐암에서 표적치료제의 경우 유전자 돌연변이에 따라 치료약제가 개발된 경우로, EGFR(상피세포 성장인자 수용체)나 ALK(역형성 림프종 인산화효소), ROS-1, BRAF V600E, RET 등이 허가되어 사용되고 있습니다. 현재 임상시험은 HER-2 관련약물이나 C-MET 관련 약물들, ADC(Antibody drug conjugate) 약물을 포함하여 다양하게 진행중이라고 합니다.
현재 사용하고 있는 EGFR(상피세포 성장인자 수용체) 억제제의 경우, 국내 허가중인 약물의 종류는 이레사, 타세바, 아파티닙, 비짐프로, 타그리소, 렉라자등이 있습니다.
ALK 표적치료제의 경우, 젤코리(Crizotinib), 자이카디아(Ceritinib), 알레센자(Alectinib), 알룬브릭(Brigatinib), 로비큐아(Lorlatinib) 등입니다. 여기서 젤코리는 ROS-1의 경우도 처방 가능합니다.
EGFR(상피세포 성장인자 수용체) TKI(Tyrosin kinase inhibitor) 타이로신키나제 억제제의 경우 위와 같은 약물을 사용하게 됩니다.
많은 분들이 내 담당 선생님이 왜 최근 나온 약 처방해주지 않는 거야? 답답해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특히 유전자 돌연변이 양성(Exon19del, Exon 21 L858R)의 경우 가장 먼저 선택되어지는 1차 선택 가능 약제가 이레사, 타세바, 아파티닙, 비짐프로 중 하나입니다.
3세대 표적치료제인 타그리소(오시머티닙), 렉라자(레이저티닙)의 경우 1차 치료제 사용 후 내성인자 T790M 이라는 유전자 검사결과가 나온 경우만 보험으로 처방되어질 수 있습니다. 건강보험이 되어도 현실적으로 약가가 고비용이기 때문에 본인부담 비용이 한달에 적게는 몇만원선에서 30만원 정도는 예상하여야 합니다.
'항암'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항암 치료와 민간요법 (0) | 2023.08.21 |
---|---|
항암 관련 약제비 환급프로그램 알아 두어야 할 사실 (0) | 2023.08.08 |
바벤시오(아벨루맙) 1차 치료 유지요법 급여 for 진행성 요로상피암, 방광암 (0) | 2023.07.26 |
폐암 신약 렉라자 항암제 무상공급 (0) | 2023.07.12 |
항암제의 분류-세포독성항암제, 표적, 면역, 항체-약물접합 (0) | 2023.07.09 |